SQL (Structured Query Language)한 마디로 데이터베이스와 대화를 하기 위한 언어다. Query와 SQL의 차이점?더보기SQL 이란 언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요청을 하는 질의를 Query라고 한다. 보통 데이터베이스에 요청을 할 때 "Query를 작성한다." 라는 말을 사용한다!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란, 쉽게 말해 데이터가 저장되어있는 큰 폴더. 테이블(Table)과 컬럼(Column): 테이블은 엑셀과 유사한 구조로 데이터를 갖고 있고, 각 열을 컬럼 혹은 필드라고 부른다. SQL 데이터 조회SELECT / FROM 문의 개념SQL은 코드가 아니라 데이터베이스에 요청을 하기 위한 언어이므로, 작성 전에 어떤 요청을 할 지 생각해봐야 한다.기본 명령어 한 눈에 보기SELEC..
레이스 컨디션 (Race Condition)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Process) 또는 스레드(Thread)가 동시에 공유 자원에 접근하려고 할 때 발생하는 문제로, 접근 순서를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결과 역시 예측할 수 없어 불안정한 프로그램 동작을 초래할 수 있다. 주로 다중 스레딩 환경에서 빈번히 발생하는데, 예를 들어 계좌 잔액을 동시에 업데이트하는 두 스레드가 있는 경우, 레이스 컨디션이 발생하면 잔액이 정확히 반영되지 않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동기화 기법을 사용하며, 대표적으로 세마포어와 뮤텍스가 있다. 세마포어 (Semaphore)여러 스레드가 공유 자원에 접근하는 것을 제어하는 동기화 도구로, 주로 특정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는 티켓의 개수를 제..
컨텍스트 스위칭 (Context Switching)운영체제(OS)에서 하나의 프로세스나 스레드가 실행을 멈추고 다른 프로세스나 스레드를 실행하도록 전환하는 작업. 이 과정에서 시스템은 현재 실행 중인 작업의 상태를 저장하고, 새롭게 전환할 작업의 상태를 복원하여 실행을 계속하게 된다. 컨텍스트 스위칭은 멀티태스킹을 지원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컨텍스트 스위칭 개념 프로세스/스레드: 여러 작업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도록 CPU가 각 작업을 교대로 실행한다.컨텍스트(Context): 프로세스나 스레드의 실행 상태를 의미하며, CPU 레지스터 값, 프로그램 카운터, 스택 포인터, 메모리 맵 등을 포함한다.컨텍스트 스위칭: 특정 작업의 컨텍스트를 저장하고, 새로운 작업의 컨텍스트를 복원하는 과정을 통해 CPU 제..
개요사실 이번 시간은 트러블 슈팅이라기 보다는 내 개인적인 의문으로 공부를 한 시간이라고 할 수 있다.한창 TCP 멀티 서버를 구축하고 테스트해보던 중...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현재 내가 만든 서버에 접속 가능한 클라이언트가 몇 명 정도 될까? 나의 궁금증이 해소되는 데에는 그리 오랜 시간이 필요하지 않았다. 왜냐...?이미 미래시를 가지고 있는 튜터님께서 테스트를 해주셨거든... 대충 200명에서 250명 사이에서 서버가 터지는 걸 확인했다. 하지만 여기서 끝내면 그저 궁금증에 지나지 않는다. 만약 서버에 더 많은 유저가 접속을 시도했을 때, 어떻게 하면 부하를 줄이고 유저를 더 수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로드 밸런싱물론 나는 이론적으로 이미 공부를 했었던 내용이다. 바로 로드 밸런싱!!!..
문제더보기...이때, 트럭 하나로 모든 배달과 수거를 마치고 물류창고까지 돌아올 수 있는 최소 이동 거리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50369?language=cpp 프로그래머스SW개발자를 위한 평가, 교육,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programmers.co.kr 풀이해당 문제는 2023 KAKAO BLIND RECRUITMENT에 출제되었고, 문제에 도전한 후 봤던 참고 풀이가 내가 접근한 방식과 다르게 간단하고 명확해서 다시 다뤄볼 필요가 있을 것 같아 들고와봤다. 먼저 내가 풀어본 풀이를 살펴보자. C++)#i..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