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간단한 로그인 페이지(HTML)를 통해 "jwt 토큰을 이용하여 인증을 거친 후 로비 페이지로 이동하는 로직을 만들어보자!" 라고 생각했지만... 처음부터 장애물에 막혀버렸다!!! jwt 토큰을 로그인 페이지에서 로비 페이지로 어떻게 넘겨주지...? 그 때부터 구글링을 열심히 했다... 정말 열심히... 그렇게 알게 된 사실!local Storage라는 것을 이용하면 데이터를 넘겨줄 수 있다네??? 바로 적용! 다행히도 local Storage를 이용하니 머릿속으로 구상하던 것을 쉽게 이뤄낼 수 있었다. 그렇게 무난하게 다음 로직을 생각하는데... ......이거 왜 로그인이 중복되지?이게 무슨 뜻이냐면, 유저 A가 로그인하고 유저 B가 로그인했을 때, 유저 B의 토큰이 A의 로컬 스토리지에도 저장..
도메인 (Domain)인터넷 상에서 웹사이트나 특정 네트워크 서비스를 식별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주소 체계. 쉽게 말해, 복잡한 IP 주소(예: 192.168.1.1)를 쉽게 기억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진 URL의 한 형태다! 도메인 예시)더보기 google.com: 구글 도메인naver.com: 네이버 도메인amazon.co.kr: 아마존 한국 도메인 EC2 인스턴스 확인하기 먼저 AWS에 접속해서 EC2 CLICK! 인스턴스의 퍼블릭 IP 주소 or 퍼블릭 DNS 주소를 확인한다.나는 public IPv4 주소를 복사했다. (가운데 떡 하니 있어서...) 참고)더보기EC2 인스턴스 퍼블릭 IP 주소는 인스턴스를 중지/시작할 때마다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려면, ..
Window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만들기Visual Studio 2022 열기! → 새 프로젝트 만들기 → Window Desktop Application(.exe) 형식 이후 필요에 따라 GIT 연결과 레포지토리 만들기 등을 실시한다! Win Main헤더 파일도스에서는 사용하는 함수에 따라 여러개의 헤더 파일을 포함하지만 윈도우즈에서는 하나의 헤더 파일에 모든 API함수들의 원형과 사용하는 상수들을 죄다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windos.h만 포함해주면 된다.windows.h 헤더파일은 기본적인 데이터 타입, 함수 원형등을 정의하며 그 외 필요한 헤더 파일을 포함하고 있다.그래서 윈도우즈 프로그램의 첫 줄은 거의 항상 include 로 시작된다. int APIENTRY wWinMain(_In_ HIN..
Tesselator 단계HullShader → Tesselation → DomainShader 테셀레이터는 다각형을 겹치지 않고 작게 만들어 빈틈을 없애 게임 등에서 사물 등을 실제에 보다 더 가깝게 표현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술이다.HullShaderVertex Shader에서 공간 변환을 진행하지 않고 Hull Shader 정점 정보들을 전달해준다.Hull Shader는 폴리곤을 어떻게, 얼마나 분할 할 것인가? 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Domain Shader테셀레이터가 출력한 정점마다 한 번씩 함수(셰이딩 언어) 호출을 해주게 된다.테셀레이션이 활성화되면 기존의 정점 쉐이더에서 수행한 것들을 도메인 셰이더에서 수행하게 된다.예를 들면, 공간변환(World → View → 투영)이 될 수 있다. 하지..
파이프라인? 여러 명령어가 중첩되어서 프로그램이나 하나의 작업을 실행하게 도와주는 과정(연산들의 집합).예를 들어, 3차원에서 2차원으로 변환하는 데에는 무수히 많은 단계를 거친다. 이처럼 복잡한 단계를 거친 변환에서 거치는 단계들을 의미한다. 한 사이클 안에 변환 과정이 전부 들어가야 해서 한 사이클이 복잡해지거나 사용자 입장에서 어려워질 수 있는 단점이 존재한다. 렌더링파이프라인 (레스터라이제이션 - Rasterization)3차원을 2차원으로 변환해주는 일. 아래 그림과 같이 다음의 단계를 거친다.더보기 Input Assembler (입력 조립 단계)모델은 점(Vertex)으로 이뤄져 있다. 우리는 이를 폴리곤(점들의 집합)이라 한다.주로 게임에서는 삼각형을 가지고 3D 폴리곤을 정의하는데, 이..
컴퓨터 세계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란? 컴퓨터가 데이터를 주고받는 목적은 특정한 기능, 즉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따라서 이름 그대로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중 서비스를 제공하는 쪽을 서버라 부르고,그 서비스를 요청하고 받는 쪽(사용하는 쪽)을 고객, 즉 클라이언트라 부른다 서버 (Server) 서비스를 제공! 서버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하드웨어. 쉽게 말해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는 컴퓨터를 뜻한다.서버는 언제 어떤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해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준비하고 있어야 하며, 네트워크 전체를 모니터링하고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을 관리해야 한다.더보기 서버는 24시간 내내 네트워크를 관리하며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서버는 큰 용량을 가진 고성능 컴퓨터인..